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판교 사투리: 개발할 때 자주 쓰이는 단어와 예시 🖥️

by Likoo
반응형

개발자들 사이에서 특히 자주 쓰이는 판교 사투리는 개발 용어를 줄이거나 영어 표현을 한국식으로 바꿔 사용하는 단어들이 많아요.
여기에 개발 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된 표현들도 포함되는데요. 아래에서 개발 중 자주 쓰이는 단어실제 사용 예시를 정리해봤습니다. 😊

 

 


🔤 개발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

1️⃣ 디플(Deploy)

  • : 배포 작업을 의미. 코드나 서비스를 서버에 올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작업.
  • 사용 예시:
    • "이번 디플은 오후 3시로 잡혀 있어요."
    • "디플 전에 QA 체크 꼭 부탁드립니다."

2️⃣ 롤백(Rollback)

  • : 문제가 생겼을 때 변경 사항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작업.
  • 사용 예시:
    • "배포 후에 오류 발생하면 바로 롤백 준비해주세요."
    • "이거 롤백 한 번 하고 다시 점검합시다."

3️⃣ 핫픽스(Hotfix)

  • : 긴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빠르게 적용하는 패치나 업데이트.
  • 사용 예시:
    • "버그가 너무 심각해서 핫픽스로 바로 배포했어요."
    • "이번 핫픽스는 로그인 문제만 해결하는 걸로 진행합시다."

4️⃣ 프론트(Frontend) / 백(Backend)

  • :
    • 프론트: 사용자가 직접 보는 화면(UI)을 개발하는 작업.
    • 백: 서버, 데이터베이스 등 보이지 않는 동작을 담당하는 작업.
  • 사용 예시:
    • "프론트 작업 끝났으니 이제 백이랑 연결 테스트 들어갑니다."
    • "이 기능은 백에서 API 추가 개발이 필요합니다."

5️⃣ CI/CD

  • :
    • CI(Continuous Integration): 지속적 통합, 개발자가 변경한 코드를 정기적으로 통합 및 테스트.
    • CD(Continuous Deployment): 지속적 배포, 코드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배포.
  • 사용 예시:
    • "CI/CD 파이프라인 오류가 있어서 로그 확인 중입니다."
    • "CI 돌릴 때 실패한 테스트 다시 봐야 할 것 같아요."

6️⃣ 스토리포인트(Story Point)

  • : 개발 작업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단위. 숫자가 클수록 작업량이나 복잡도가 높음.
  • 사용 예시:
    • "이 작업은 스토리포인트 8로 산정했어요."
    • "스토리포인트 높은 태스크는 스프린트 후반에 넣는 게 좋겠네요."

7️⃣ 스프린트(Sprint)

  • : 애자일 방식에서 짧은 개발 주기(보통 1~2주)를 의미.
  • 사용 예시:
    • "다음 스프린트에서는 이 기능 우선순위로 넣어야 해요."
    • "스프린트 초반에 태스크를 얼라인하는 게 중요합니다."

8️⃣ 태스크(Task)

  • : 특정한 작업 단위 또는 해야 할 일.
  • 사용 예시:
    • "이번 스프린트 태스크는 여기에 정리돼 있어요."
    • "태스크 나누고, 각자 작업 범위 어그리합시다."

9️⃣ 버그(Bug)

  • : 코드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오류 또는 예상치 못한 문제.
  • 사용 예시:
    • "QA에서 새로운 버그가 발견됐어요."
    • "버그 리포트 작성해서 바로 공유해주세요."

🔟 MVP(Minimum Viable Product)

  • : 최소 기능 제품, 초기 단계에서 기본적인 기능만 담은 버전.
  • 사용 예시:
    • "이번 프로젝트는 MVP로 빠르게 시장 반응부터 보겠습니다."
    • "MVP 출시 후 피드백 받아서 추가 기능 설계할게요."

💡 실전 예시 대화

▪️ 배포 관련

"오늘 디플 전에 QA 꼭 돌리고, 만약 문제 생기면 롤백 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준비합시다. 이번엔 CI/CD가 잘 작동해야 할 텐데요."
👉 배포 작업 전 테스트와 문제가 발생했을 때 복구 준비를 하자는 내용.

▪️ 개발 진행 상황 점검

"프론트는 거의 마무리 단계라 백이랑 연결만 하면 돼요. 스프린트가 끝나기 전에 태스크 얼라인은 필수겠네요."
👉 프론트엔드 작업이 끝났고, 백엔드와 조율해야 한다는 상황.

▪️ 긴급 문제 해결

"배포 후에 버그가 나서 핫픽스로 바로 고쳤습니다. 하지만 다시 한번 QA 돌려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."
👉 긴급 패치를 했지만 추가 테스트가 필요하다는 의미.


🎁 결론

판교 사투리 중 개발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들은 실제 작업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된 표현들이 많아요.
다시 한번 주요 단어를 정리하자면:

  1. 디플, 롤백, 핫픽스 등 배포와 문제 해결 관련 단어.
  2. 프론트, 백, CI/CD처럼 개발 환경을 나타내는 표현.
  3. 스토리포인트, 스프린트, 태스크처럼 작업 단위와 계획에 쓰이는 용어.

이 단어들만 알아도 개발자들과의 대화에서 훨씬 친숙하게 느껴질 거예요!
더 궁금한 표현이 있다면 언제든 질문해주세요. 😊

 

 

반응형